서울시가 2010년까지 모든 시내버스를 천연가스 버스로 교체하겠다 발표했습니다. 공기가 좋아질 테니 반갑긴 한데 가스 충전소 부지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민들의 발인 시내버스.
비용 부담을 덜기 위해 서울은 3분의 2가 값싼 경유를 연료로 씁니다.
하지만 매연이 많아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지적돼 왔습니다.
[이용건/버스 이용객 : 매연 많이 나오고 많이 퀘퀘하죠.
더군다나 감기 걸렸을 때는 그냥 아예 돈 들여서 택시 타고 빨리 가지요.]
서울시는 2010년까지 모든 시내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1천300억원을 들여 4년 동안 5천대의 버스를 천연가스용으로 교체합니다.
[목영만/서울시 맑은서울추진본부장 : 경유 차량에서 베출되던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의 상당 부분을 줄 여서 서울의 공기질이 대폭 좋아질 것으로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가스 충전소 확보가 큰 걸림돌입니다.
주민들의 반대로 충전소 설치가 어려운 곳이 많기 때문입니다.
전체 공정의 70% 정도가 진행됐지만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히면서 지금은 공사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주민들이 반발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가스 폭발사고 같은 안전문제입니다.
[충전소 인근 주민 : 위험하기도 위험하고, 여기 집을 내놔도 안 나가요. 당신 같으면 여기 살겠어? 언 제 터질지도 모르는데...]
결국 서울시내 버스를 모두 천연가스버스로 바꾸는 서울시의 계획이 성공할지 여부는 현재 32곳인 천연 가스 충전소를 얼마나 더 만드느냐에 달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