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원하는 인재는 한가인·김동완 같은 이미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6-02-13 오후 12:05:00
기업이 원하는 인재는 한가인·김동완 같은 이미지
입력: 2006년 02월 12일 19:19:05 : 0 : 0

기업이 뽑고 싶은 인재를 TV 드라마속 연예인 이미지와 비교한 결과, ‘슬픔이여 안녕’의 김동완, ‘신
입사원’의 한가인 같이 성실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이 사원채용을 위해 이력서 검토시 가장 중요시 하는 사항은 ‘전공’(32.8%), ‘자격증’
(21.8%), ‘인턴 및 아르바이트 경험’(11.9%)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출신학교’(7.5%)나 ‘학점’
(3.9%), ‘외국어 능력’(3.8%) 등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와 중앙고용정보원이 올해 1월 11일부터 16일까지 기업체 인사담당자 1,526명을 대상으로 직원 채
용사항을 조사한 결과 업종별로는 ▲건설·운수·부동산 및 임대업·보건 및 사회복지업종은 ‘자격
증’ ▲숙박 및 음심점업은 ‘인턴 및 아르바이트 경험’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력서 등 입사지원서 검토에 소요되는 시간은 ‘6~10분’이라는 응답이 30.4%로 가장 많게 나타났으
며, 전체적으로 ‘10분이하’라는 대답이 절반이상(54.8%)을 차지했다.

인사담당자들이 면접시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항목은 절반이상이 ‘성실한 태도’(56.0%)를 꼽았으
며, 그 다음으로 ‘업무에 관한 지식’ (18.3%), ‘자신감 있는 모습’(17.3%) 등이 뒤를 이었다.

입사지원자의 외모 중 면접평가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자세’(37.9%)와 ‘표정’(30%), 옷차림
(9.6%)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숙박 및 음심점업’, ‘금융 및 보험업’과 같이 고객을 직접 상대하
는 업종의 경우에는 ‘표정’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40% 이상)

반면에 자격요건이 충분해도 뽑고 싶지 않은 지원자 유형으로는 ‘이력(경력)을 심하게 포장한 듯한 지
원자’(33.4%)와 ‘소극적인 성격의 지원자’(33.3%)가 많았으며 다음으로 ‘너무 자신만만한 지원자’
(14.0%)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3곳중 1곳은 직원 채용시 2회 이상의 면접을 치르고 있으며 회사규모가 클수록 그 비중은 더 커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차례 이상의 심층면접을 실시하는 500여개 업체의 경우 집단토론, 프리젠
테이션, 블라인드(무자료) 면접, 상황설정 면접, 영업면접 등 다양한 방법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
다.

인사담당자들은 요즘 입사지원자에게서 가장 부족한 점으로 ‘끈기’(10.4%)를 들고 있으며, 그 다음으
로 ‘성실성’(8.5%), ‘자신감’(5.3%), ‘회사에 대한 정보 부족’(4.3%), ‘예의가 없다’(3.6%), ’
책임감‘(3.0%) 순으로 지적이 나왔다.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상으로 ‘성실한 사람’을 원하는 경우가 전체 응답자의 42.5%로 절반에 가까웠으
며, ‘창의력 있는 사람’ (3.7%), ‘회사와 화합하는 유대감 있는 사람’(3.1%) 순이었다.

자체 입사지원서 양식이 있는 963개 업체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 학력 등의 항목을 입사지원서에 요청
하는 지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사업체 절반은 남녀구분 항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정보를 요청하지 않는 사업체도 29.4%를 차지하였고 학력이나 학교명을 요청하지 않는 업체는 각각
19.6%, 38.1%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300인 미만 중기업에서 더 두드러졌다.

직원채용 계획에 대해서는 1,526개 업체중 24.6%가 ‘상반기’에, 42.2%가 ‘연중 수시채용’할 계획이
라고 응답했고 상반기에 채용계획이 있는 사업체의 채용인원은 4,697명이며, 대부분(81.5%)이 3월 이전
에 공채를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 채용구분을 보면, 45.5%가 신입사원만, 18.8%가 경력사원만, 31.4%가 신입/경력 모두 채용하겠다
고 응답했고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1,167명으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사업서비스업 655명, 보건 및
사회복지업 52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작년 상반기와 비교했을 때, 작년과 유사(52.7%)하거나 증가(33.7%)했다는 업체가 많았으며, 감소한 업
체는 13.6%였다.

〈미디어칸 손봉석기자〉
이전글 요양비용 20%만 내면 중풍·치매 국가가 수발
다음글 恨맺힌 혼혈인 어머니들 “워드 성공 그건 미국 얘기죠”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589 우)143-805 / Tel. 02) 456-7850 | Fax. 02) 456-7650 | E-mail. karp@karpkr.org
Copyright(c) 2008 KA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