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매달린 부용대 .. "안동 하회마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10-12 오전 10:07:00
안동 하면 가장 먼저 하회마을이 떠오른다.낙동강 물이 마을 전체를 돌아 흐른다 하여 물 하(河)자에
돌 회(回)자를 붙인하회마을은 6백년을 지켜 온 양반가의 전통이 서려 있는 곳이다.

하회마을에서 물 건너편으로 깎아지른 듯한 절벽이 버티고 있다.

높이 64m에 달하는 이 절벽의 이름은 '부용대'.

하회 16경중 하나로 꼽힌다.

부용은 연꽃이란 의미다.

하회마을은 마치 물에 떠 있는 연꽃과 같은 '연화부수형'지형이다.

절벽의 명칭은 거기서 유래됐다.

부용대에 올라서면 하회마을의 풍수가 한눈에 들어온다.

물줄기에 포근하게 감싸인 마을의 모습이 주변 경관과 참 잘 어울린다.

하회마을은 물가에 자리잡았지만 어지간해서는 홍수 피해를 입지 않는다.

모두 부용대 덕택이란다.

하회의 물줄기는 부용대에 부딪쳐 돈다.

부용대는 이때 완충작용과 함께 거센 물길이 마을을 비켜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맡는다.

부용대의 위치가 조금만 달랐어도 마을은 매년 물난리를 겪었을 것이라는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때문에 하회마을 주민들은 부용대를 신성시한다.

지금도 부용대에서 울리는 소리가 나면 마을에 재앙이 생긴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하회마을에서 바라보면 부용대 오른쪽으로 한 채의 고가옥이 보인다.

서애 유성룡 선생이 낙향해 기거했던 옥연정사다.

서애 선생은 이곳에서 국보132호 징비록을 저술했다.

최근에는 영화 '조선남녀상열지사'의 촬영장소로도 이용됐다.

부용대를 가로 질러 왼쪽 끝에는 겸암정사가 있다.

겸암은 서애 선생 곳이 많이 있다.

도산면 가송리에 위치한 농암종택(054-843-1202)이나 하회마을 등에서는 방 크기에 따라 하룻밤에 2만~8
만원에 머물수 있다.

이전글 서울시,북촌 한옥마을에 양반문화 체험관
다음글 "사운드 오브 뮤직"의 후예, 폰트랩중창단 내한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589 우)143-805 / Tel. 02) 456-7850 | Fax. 02) 456-7650 | E-mail. karp@karpkr.org
Copyright(c) 2008 KA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