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은 언제 가장 사표를 던지고 싶을까?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911명을 대상으로 ‘퇴직 신호’를 언제 느끼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사가 업무 관련 지시를 번복하거나, 진행 중인 업무를 갑자기 취소하는 등 ‘삽질’을 시킬 때가 25.4%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근소한 차이로 ‘나에게 폭언을 일삼거나 뒤에서 험담할 때’가 23.7%로 2위를 기록했다.
이밖에 ▲감당할 수 없는 분량의 일을 줄 때(17.5%) ▲중요한 프로젝트에서 항상 빼놓을 때 (13.8%) ▲회사 중역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망신 줄 때 (11%) ▲나만 빼고 점심 먹으러 가거나 술자리 잡을 때 (1.8%)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장생활 중 ‘사표를 던지고 싶게 만드는 요인’에 대해 질문한 결과, 35.9%의 직장인이 ‘회사 내에서 나의 미래가 불투명할 때’ 사표를 쓰고 싶다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나의 업무 능력이 무시당할 때(15.5%) ▲쥐꼬리만 한 월급(15%) ▲상사의 끊임없는 참견과 잔소리(11.7%) ▲끝이 보이지 않는 무한 반복 야근(9.7%) ▲매일 같이 반복되는 지루한 업무(6.4%) ▲나보다 잘나가는 입사 동기(3.3%) ▲지옥 같은 아침 출근길 전쟁(1.3%)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직장인들이 사표를 쓰고 싶다가도 참게 되는 순간으로는 ‘월급날(32.6%)’이 1위, ‘처자식 등 가족이 생각날 때(24.5%)’가 2위였다.
이 외에 ▲카드 명세서 받는 날(12.2%) ▲주위 백수 친구들을 볼 때(11.4%) ▲고용 한파 관련 뉴스나 기사를 볼 때(11%) ▲대출이자 갚는 날(4.6%)이라고 응답했다.
잡코리아 김화수 사장은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사표를 쓰고 싶을 때가 있다. 하지만 사표를 던진 후에 자신의 모습은 바로 현실”이라면서, “구체적인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일시적인 감정으로 사표를 던졌다가 후회하거나 자신의 커리어에 오점을 남기게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2013.06.24
대한은퇴자협회(KA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