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의 급격한 지역개발이 노인 자살률 높인다
농촌지역의 급격한 지역개발이 지역 노인의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이 발표한 ‘노인 자살에 미치는 지역적 위험요인 연구’ 조사 결과를 보면, 지역개발, 자연재해 등 노인의 경제활동상태에 치명적인 사건이 노인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시도별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살펴보면, 충청남도가 541명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도가 528.5명, 충청북도가 477.9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전국 노인 자살률인 377.6명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다.
자살률이 가장 낮은 시도는 제주도(252.5명)였으며, 전라남도(253.7명), 광주(287.6명), 서울(297.9명) 순이었다.
이처럼 충남과 강원 지역의 노인 자살률이 높은 이유는 2000년대부터 급격히 진행된 충남과 강원도 지역개발이 해당 지역사회에서 오랫동안 기반을 잡고 살아온 노인의 경제활동상태에 타격을 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충남 지역 노인 자살률은 2003년까지는 전국 노인 자살률보다 낮았으나, 2004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2007년에는 강원도의 노인 자살률을 앞질렀다. 강원도의 노인 자살률은 2001년부터 전국 자살률보다 항상 높게 나타났다.
노인은 충동적이거나 주변에 도움을 보내는 신호로 자살을 시도하지 않고 오래 고민한 뒤 계획적으로 자살하는 경향이 강해 독극물 등 상대적으로 치명적인 자살 수단을 이용한다. 그 결과 자살에 의한 사망률이 다른 연령층보다 높은 경향을 보인다.
전 연령의 자살률은 10만 명당 144.7명인 데 비해 65~74세는 306.3명, 75~84세는 490.8명, 85세 이상은 649.4명에 이르렀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관계자는 “지역개발, 구제역 등 어떤 지역에서 삶의 기반을 흔드는 사건이 일어날 때 노인 자살이 증가할 수 있다”면서, “항상 이 점을 염두에 두고 노인자살 예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3.05.27
대한은퇴자협회(KA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