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무소 명칭 바뀐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08-27 오후 12:18:00
9월부터 실시될 예정인 소규모 동(洞) 통합과 명칭 변경에 따른 동민간 갈등이 예상돼 대안 마련이 시급
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지난 6월 전국 읍·면·동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이 완료돼 도시지역을 중심으
로 동사무소의 명칭변경과 통폐합을 추진할 계획을 발표했다.
행자부가 제시한 소규모 동 통합 기준은 인구 1만명(또는 지역에 따라 2만명) 미만, 면적 3㎢ 미만인 지
역은 인접 동과 통폐합하며, 통폐합 후 적정인구는 ‘2만~2만5천명’, 면적은 ‘3~5㎢’를 제시했다.

또한 명칭도 ‘00동 주민생활지원센터’, ‘주민센터’, ‘주민복지센터’ 등으로 변경하는 것을 권장하
고 있다.
그 배경은 현행 ‘동사무소’ 명칭이 기능과 역할의 변화에 어울리지 않고, 동의 기능이 통합서비스 제
공기관으로 탈바꿈한 사실을 주민들이 잘 모른다는 지적에 의해 실시한다고 밝히며, ‘명칭선정위원회’
를 구성해 9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강원도 1만명 미만 소규모 동은 춘천 7, 원주 5, 강릉 7, 동해 7, 태백 7, 속초 5, 삼척 2개 동 등 40
개 동이며, 1만~2만명 미만 동은 춘천 5, 원주7, 강릉 3, 동해 1, 태백 1, 속초 1, 삼척 2개 동 등 20개
동이 통폐합 대상이 된다.
강릉은 지난달 31일 기준으로 중앙동이 7,093명, 옥천동이 4,908명, 홍제동 8,412명으로 합계 20,413명
으로 행자부가 제시한 통폐합 조건에 맞게 된다.

그러나 통폐합에 있어서 통폐합 동명(洞名)에 설정이 기존 동민간 화합과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
기초 지자체 발전의 원동력인 주민화합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포남1, 2동과 교1, 2동의 경우는 포남동과 교동으로 동명이 개병되면 주민반발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
만 중앙동, 홍제동, 옥천동, 초당동, 송정동 등 주민들은 입장을 달리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발이 예상된
다.
시 관계자는 “이 문제는 9월 개원하는 시 의회 임시회에서 안건으로 다뤄질 것”이라고 말하며, “만
약 이를 거부할 경우 교부세, 인센티브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했다.

동 통폐합은 행자부의 권유 사항이지만 교부세, 인센티브에 영향을 미친다면 중앙정부의 지원에 의존하
고 있는 기초 지자체로선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시민화합을 원칙으로 하는 현명한 방안 또는 대안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선구 기자. 강원 데일리안
이전글 탈모예방을 위한 7가지 원칙
다음글 편견의 벽에 무너진 신지식인들 지금은 무엇을 하고 있나?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589 우)143-805 / Tel. 02) 456-7850 | Fax. 02) 456-7650 | E-mail. karp@karpkr.org
Copyright(c) 2008 KA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