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주말에 입원하면 사망 위험 높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03-09 오전 11:43:00
의료 처치를 일찍 받으면 받을수록 예후가 좋고 사망위험이 감소하는 뇌졸중 환자들은 주말에 병원에 입
원하는 것보다 주중에 병원에 입원하는 것이 사망율 감소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주말효과(weekend effect)로 알려진 이 같은 현상은 폐색전증이나 대동맥벽의 심각한 팽창 등의
중증 상태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있다.


토론토 대학 사포스닉 박사팀이 '뇌졸중저널'에 발표한 연구결과 아직까지 완전히 연구되지 않은 뇌졸중
의 경우에도 이 같은 주말 효과가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이 2003-2005년 사이 뇌졸중으로 캐나다 지역의 606 곳 병원에 입원한 평균 연령 75세 26,676 명
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결과 주중에 입원했던 20,047명중 7.4%가 다음 1주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반해 주말에 입원했던 6,629명의 환자군에서는 8.5%가 다음 주 내에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 성별, 동반질환등의 다른 요인을 배제한 후에도 주말에 입원하는 것이 뇌졸중 환자의 사망 위험
을 17%가량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차이는 도시지역 병원보다 시골지역 병원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주치의가 전문의인 경우
보다 일반의였던 경우 뚜렷했다.


또 수련교육을 하지 않는 병원, 중환자실 시설이 없는 병원일수록 이같은 뇌졸중 입원후 사망위험이 더
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글 건교부 전셋값 불안은 국지적 현상
다음글 한국 네티즌 인터넷 사용시간 세계 3위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589 우)143-805 / Tel. 02) 456-7850 | Fax. 02) 456-7650 | E-mail. karp@karpkr.org
Copyright(c) 2008 KA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