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의 꿈] 평생 직장은 옛말…職테크로 몸값 상승 추구 [쿠키 사회] 직장인들 사이에 이직은 더이상 새로운 용어가 아니다. 평생직장은 옛말이 된 지 오래고,기 업 브랜드처럼 개인 브랜드를 키워나가야 한다는 인식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직장’ 보다는 ‘직무’를 통해 단계적으로 몸값을 올려나가는 ‘직(職)테크’의 개념으로도 이직이 고려되고 있다.
본보는 취업전문업체 커리어다음(www.career.co.kr),헤드헌팅업체 엔터웨이파트너스(www.nterway.com) 와 함께 이직 희망자 2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사례분석을 실시,갈수록 확산되고 있는 이직의 실 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연봉·적성 맞지않아 떠난다=광고업계 4년차인 김항범씨(30)는 지난해말 외국계 광고대행사 ㈜ISMG로 자리를 옮겼다. 국내 유명 광고회사인 W사에서도 직장내 평판이 좋았고 ㈜ISMG가 신생기업이었지만 발 전 가능성으로 보고 과감한 이직을 단행했다. 김씨는 “연봉도 20% 정도 올랐지만 주어진 역할이 크고 광고기획자로서 보다 창의적인 일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마음에 들었다”고 이직배경을 설명했다.
이직을 꿈꾸는 직장인들은 대부분 김씨와 비슷했다. 연봉 불만족(36.8%)과 업무내용 및 적성 불만족 (24.8%)이 이직의 1,2번째 사유였고 현 직장의 불확실한 장래(18.1%),정년보장 등 안정성(9.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남녀·학력·연령별 세부적으로 분석해봐도 비슷해 미래보다는 현재 상황에 대한 해결책 개념의 이직이 우리나라에서는 일반화돼 있음을 보여줬다.
다만 직급별로 보면 과장급은 연봉 불만족과 현 직장의 불확실한 장래가 23.5%로 비슷했으며 차·부장급 에서는 28%와 36.1%로 조사돼 회사의 ‘허리’에 해당되는 직장인들은 현재보다는 미래를 중시하는 경향 을 보였다.
여성에게는 육아 및 성차별 등도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외국계 컨설팅 회사 비서로 근무하던 박모씨 (29·여)는 출산후 ‘칼 퇴근’이 가능한 벤처기업의 비서직으로 자리를 옮겼고,토목관련 총무팀에서 6 년을 근무한 차모씨(31·여)는 번번히 대리 승진에서 누락되자 성차별이 덜한 외국계 기업으로 갈아탔 다.
◇이직자 붙잡는 시대는 끝났다=현 직장에 대해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응답한 직장인은 81%,‘그렇다’는 18%에 불과했다. 만족하고 있는 직장인을 상대로 만족하는 부분을 물어보니 업무내용 (25.1%),직장동료들과의 관계(20.5%) 등은 높았으나 연봉,기업의 발전가능성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만족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연봉 및 복지후생이 45.6%로 압도적이었다. 다음으로는 업무내용 (13.9%),기업의 발전가능성(12.9%) 등이어서 이직하려는 사유와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이같은 성향은 중소기업 직원일수록 더하다. 중소 식품업체 E사에서 5년간 근무하다 지난해말 이직한 오 모씨(31)는 연봉 등 여러 조건이 나은 대기업으로 옮기기 위해 3년을 준비해온 경우. 대기업 입사를 위 해서는 자신만의 능력을 기르는 게 관건이라고 판단,이전 중소기업에서 교육 담당 업무를 자원해 차근차 근 경력을 쌓아왔다.
현 직장에 대한 불만족을 연차별로 살펴보면 3년차 이하는 75.4%,10년차 이상은 88.6%로 회사를 오래 다 닐수록 불만족도가 높았다.
관심을 끄는 대목은 주위에서 이직하는 모습을 봐도 67.5%는 부러워하고 안타깝다는 의견은 6.8%에 불과 하다는 점. 예전 같으면 이직하는 동료를 아쉬워하며 붙잡으려는 분위기였겠지만 이제는 이직 제의를 못 받는 본인을 탓하는 상황으로 바뀐 것이다.
그러면서도 ‘헤드헌팅업체에 이력서를 낸 사실을 직장 동료에게 얘기해본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51.8%가 얘기한 적 없다,37.7%는 가볍게 얘기한 적은 있다,10.5%는 진지하게 얘기했다 등으로 이직할 때 까지는 대부분 숨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과장급은 유일하게 가볍게 얘기한 적이 있다(59.3%) 가 얘기한 적 없다(34.2%)보다 많아 다른 직급에 비해 이직에 대한 얘기를 공공연하게 하고 있었다.
◇연봉은 1000만원대 인상이 가장 많아=이직할 경우 원하는 연봉 인상폭은 어느 정도인 지에 대해서는 1000만∼2000만원 미만 인상이 24.7%로 가장 많았고 300만∼500만원 미만(19.1%),500만∼1000만원 미만 (14.5%) 순이었다. 1000만원 이상은 대리급 이상,300만∼500만원 미만은 사원 및 3년차 이하가 많아 연 령,직급 등이 높을수록 희망연봉도 따라올라갔다.
이밖에 현재 연봉수준이라도 상관없다는 12.4%,줄어도 상관없다는 2.9%를 차지해 연봉보다는 다른 조건 을 찾아 이직하려는 직장인도 15% 정도를 차지했다.
커리어다음 관계자는 “아직도 40대는 이직보다는 현 직장에 남아있으려는 경향이 남아있지만 20∼30대 는 이직이 대세”라며 “특히 3년차 이하 직장인들은 연봉,적성 등 조건만 맞으면 다른 회사에 신입사원 으로도 입사하는 경우도 많아 이직에 거리낌이 없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탐사기획팀=김명 호 팀장,이광호 이용훈 권기석 기자 tamsa@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