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에 중독된 M세대] "휴대전화 없는 날" 고교 캠페인 확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11-16 오전 11:20:00

[중앙일보] 휴대전화 없는 청소년은 상상하기도 어려운 게 현실이지만 한편에선 휴대전화 사용을 자제하
자는 움직임도 전국적으로 활발히 벌어지고 있다.

경남 마산.창원 지역 6개 고교생 197명으로 구성된 한돌청소년문화공동체는 매달 15일을 '휴대전화 없
는 날'로 정해 실천하고 있다. 이 단체의 회장을 맡고 있는 김소희(마산 성지여고2)양은 "휴대전화에 얽
매여 살 때는 문자 보내느라 친구들과 얼굴도 보지 않고 건성으로 대화하곤 했다"며 "이젠 엄마와 얘기
하는 시간도 늘었고 친구와도 쪽지나 편지를 쓰다 보니 우정이 더욱 깊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캠페인은 전국으로 확산돼 광주에선 10여개 고교에서 '학교에 휴대전화 가져오지 않기 운동' 등이
펼쳐지고 있다.

경기도 포천의 동남고교에서는 전교생이 등교한 뒤 휴대전화를 담임선생님에게 맡겼다가 귀가 때 찾아가
도록 하고 있다. 이 학교의 김중산 학생부장은 "휴대전화를 들여다보거나 문자 보내느라 어수선하던 수
업 분위기가 훨씬 좋아졌다"며 "학생들도 처음엔 다들 불안해했는데 이제는 잘 적응해 자발적으로 참여
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 김해교육청은 관내 80개 초.중학교의 학생에게 교내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도록 교육하고 있
다. 김해교육청 최창욱 중등담당 장학사는 "처음엔 학생들의 반발이 있었지만 지금은 대부분의 학교에
서 잘 시행되고 있다"며 "최신 휴대전화가 나올 때마다 사달라고 조르는 학생이 줄어들어 학부모들도 환
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생의 무분별한 휴대전화 사용을 막기 위해 관내 초.중.교교에 '휴대전화 예절 지키
기' 공문을 보내고 일선 학교에는 전단지를 배포해 학생을 지도하고 있다. 이 밖에 부산시.전주시 교육
청에서도 관내 학교에서 휴대전화 사용 자제를 유도하고 있다.

이전글 "프로그램 부족해 경로당 이용 기피"
다음글 온라인 인기 만화가 총출동 ‘2005 러브콘서툰’ 열린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589 우)143-805 / Tel. 02) 456-7850 | Fax. 02) 456-7650 | E-mail. karp@karpkr.org
Copyright(c) 2008 KA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