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흰쌀밥
현미의 껍질과 씨눈에는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 필수지방, 면역물질을 비롯한
중요한 영양성분의 95%가 들어있다.
껍질에 29%, 씨눈에 66%가 들어있는 영양성분을 제거하고 흰쌀밥만 먹으면
보잘것 없는 전분질 녹말 가루만 섭취하게 된다.
※대안 : 현미 잡곡밥을 먹자.
현미 잡곡밥은 현미 50%, 현미찹쌀 10%, 차조와 차수수, 통밀, 통보리, 율무, 기장 중 3가지 이상을 섞 어 30% 팥과 콩 10%를 섞어서 밥을 지어먹으면 된다.
2. 흰밀가루
섬유질과 영양이 모두 제거된 도정과 정제의 극치라 할 수 있는 식품이다.
대부분 수입품인데 농약과 화학비료, 방부제,
살충제를 비롯하여 표백제와 밀가루 개량제 등이 뒤섞여 있다.
※대안 : 우리 통밀, 메밀, 콩가루 등 도정하지 않은 여러 잡곡 가루를 먹자.
3. 흰설탕
사탕무와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원당에는 섬유질과 비타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다.
이것을 정제 및 가공하게 되면 마그네슘99%, 아연98%, 망간93%, 구리83%, 크롬83%에 해당하는 주요 미네 랄 성분을 잃어버린다고 한다.
※대안 : 물엿과 조청같은 천연 감미료를 사용하고 미각이 단맛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다양한 자연식품 을 즐기자.
4. 흰소금
정제염이란 바다염전에서 획득한 천일염을 정제하거나 공장의 화학처리 공정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이 다.
보통 천일염에는 75%85%의 염화나트륨과 다양한 미네랄 성분들이 들어있다.
천일염을 섭취하는 것은 염화나트륨과 더불어 미네랄로 함께 섭취할 수 있는데 반해 정제염은 염화나트 륨의 과잉섭취에 의한 피해를 그대로 입을 수 있는 식품이다.
대안 : 천일염이나 볶은 천일염, 구운 천일염, 구운 소금을 사용하자.
5. 흰 조미료
동물실험을 통해 그 안정성이 확인되었다고 하여 우리가 늘 사용하고 있는 화학조미료 같은 식품첨가물 중에는 그 위해성이 확인된 것,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 아직 논란 중인 것들도 있다.
예를 들면 글루탐산 나트륨과 관련하여 중국 음식점 증후군 발생 및 위해성 여부는 아직도 논란중에 있 다.
중국음식점 증후군이란 중국음식점을 자주 이용하던 사람들 중에서 호흡마비와 신경장애 같은 증상이 반 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대안 : 천연조미료를 사용하자.
다시마, 멸치, 버섯, 야채 우린물을 대신하거나 각종 가루들을 만들어 두었다가 사용하면 개운하고 훌륭 한 맛을 내면 영양을 보존할 수 있다.
6. 육류
지금의 소는 밀집된 환경에서 성장호르몬제와 항생제, 백신을 맞아가며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하면서 억지로 살집만 찌워내고 있는 것이다. 이제 육류를 못 먹던 시절의 투병중에 기력을 차리게 해주었던 식 품이 아니라, 온통 화학물질과 오염물질이 검출되는 식품이 되어 버렸고, 식품의 영양구성 또한 달라졌 을 뿐만 아니라 육류의 과잉 섭취는 면역계의 대혼란을 야기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천식, 알 레르기성 비염, 관절염, 암을 비롯한 각종 희귀질환과 면역질환의 증가를 가져오고 있다.
※대안 : 콩을 비롯한 식물성 식품을 다양하게 먹자.
곡류와 두류, 채소류와 해조류, 견과류를 다양하게 먹자.
7. 계란
오늘날 양계장의 닭들은 아파트처럼 밀집된 사육 시스템 속에서 알 낳는 기계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 닭 들이 먹는 사료에는 항생제와 각종 화학물질이 들어있고, 온순하게 길들이기 위한 신경 안정제를 투여하 고, 계란을 잘 낳게하기 위해 여성 호르몬제를 주사하며 죽을 때 죽더라도 살이 쪄 있어야 하기 때문에 성장 촉진제도 들어가 있다. 주기적으로 예방접종과 함께 항생제를 맞고 있다.
오염된 사료와 화학물질을 먹고 자라난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분비하는 생물 독소가 넘쳐나 는 닭고기와 계란을 먹는 우리가 온전할리 없다.
※대안 : 방목 유정란을 먹자.
생활협동조합이나 유기농 공급업체에서 생산되는 안전한 방목 유정란을 구해서 먹자.
8. 우유
우유가 갖고 있는 문제점
① 우유는 완전 가공 식품이다.
우유 이외에도 자연 식품인 것처럼 탈을 쓰고 있는 가공 식품들이 많이 있는데 이러한 식품의 범람으로 질병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완벽하게 가장하고 있는 가공식품이 바로 우유이다.
② 우유는 인, 황 같은 산성 미네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산성식품을 과잉섭취하면 우리 몸의 칼슘과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을 빼앗기게 된다.
③ 살균한다.
우유는 가공과정에서 살균되기 때문에 우리는 신선한 상태의 원유를 공급 받을 수 없다.
원유는 세균 감염과 유통과정중에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원유가 그대로 유통되는 것은 불가능하 다.
④ 가공 과정 중에 균질화된다.
균질화된 우유는 무균질화된 우유보다 지방의 흡속율이 증가한다.
⑤ 시판되는 우유는 지방함유량 변화와 우유속에서 발견된 화학물질의 양, 지금의 우유는 포화지방의 함 량이 40%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다.
⑥ 동물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하는데 우리는 우유와 고기를 통해 그것을 고스란 히 먹고 있다.
스트레스는 면역기능을 저하시키므로 각종 항생제와 성장 호르몬 신경안정제 등을 주어야 한다.
※대안 : 우유와 쥬스 같이 음료를 마셔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자. 사람이 마셔야 할 가장 소중한 음료 는 물이다.
9. 식용유
지금 많은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용유는 유전자 조작식품인지 아닌지 구분하기 어려운 수입콩과 옥 수수로 만든 것이며 그것도 볶아서 짠 기름이 아니라 핵산이라는 유기 용매로 기름만 추출해 낸 후, 합 성방부제와 산화방지제와 같은 온갖 화학물질이 들어간 가공식품이다.
※대안 : 씨앗류와 견과류를 즐겨먹자.
식물성 지방은 견과류, 씨앗류처럼 자연식품을 통해 섭취하도록 하고 참기름, 들기름처럼 자연상태에서 짠 재래식 기름을 사용하자.
출처: <바른 식생활이 나를 바꾼다.> - 김수현 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