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행정, 마케팅, 재정, 그리고 생산과정 같은 분야에서 매니저로 또는 최고 간부로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 중에는 비즈니스 경영학 분야에서 MBA라고 부르는 석사학위를 소지한 사람들이 많다.
MBA는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의 약자이고, 비즈니스 스쿨의 대학원 과정에서 평균 2년 걸리는 석사학위이다. 의사는 MD, 치과의사는 DDS(또는 DDM), 변호사는 JD등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학교에서 가르치는 학자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비즈니스맨들은 이 2년제 전문학위(professional degree)인 MBA로 끝내는 것이 상례이다.
▣ 매니저의 직무
각종의 조직체는 제 각기의 목적과 목표들이 세워져 있고, 그 목적을 달성 시키려고 노력한다. 총지배인과 최고 간부들은 이 같은 목적과 목표를 달성 시킬 수 있도록 필요한 작전과 방침을 세운다.
이 같은 최고 간부나 매니저들의 직위 명칭은 각 조직체에 따라 다르고, CEO, 사장, 수석부사장, 소유자, 파트너, 중개업 매니져, 또는 제너럴 매니저들은 모두 그 조직체 운영에 필요한 방침을 세우고, 그 운영을 시행한다.
매니저들의 직책은 그 기업체의 성격과 크기에 따라 많이 차이가 있다. 큰 기업체에서는 각 매니저의 직책이 특수 전문분야로 갈라져 있어 다음과 같은 툭수 분야 주의 1개 분야를 책임 맡아 일을 한다. 이 같은 분야는 생산과정, 마케팅, 판매, 구매, 배정, 인사부, 훈련양성, 행정서비스, 데이터처리, 건물-재산 처리, 교통 또는 법률 서비스등 같은 것이 있다.
한편, 소매업 또는 작은 생사업체 같은 비즈니스에서는 이 같은 최고 간부들을 파트너, 소유자 또는 제네럴 매니저라고 부르는 것이 상례이다. 이 같은 경우에는 그 간부는 구매, 인사채용과 훈련교육, 품질관리, 그리고 매일이 관리인 역할을 모두 맡아본다.
▣ 고용과 전망
제너럴 매니저와 최고 간부들의 직업 전망은 기업체에 따라 다르나 2008년 까지의 직업 성장률은 미국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일반 직업 성장률과 비슷하게 나타나 있다. 예로 서비스 사업체의 성장률은 일반 사업 성장률보다 빠르게 나타나 있고, 재정, 보험, 그리고 부동산 사업체들의 성장률은 일반 직업 성장률과 비슷하다. 그리고 생산업체의 매니저들의 수는 감소될 것으로 예측되어 있다.
▣ MBA 교육과정
미국의 비즈니스 스쿨에서 MBA학위를 받으려면, 우선 대학에서 전공분야 관계없이 학사학위를 받고 비즈니스 스쿨 대학원과정으로 지망을 한다.
미국의 비즈니스 스쿨 중에서도 최우수 학교에서는 학사학위 후, 최소 2년 이상의 직장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지망하는 것을 원한다. 따라서 명문 비즈니스 스쿨에서 MBA 학위과정을 택하려는 학생들은 직장에서 몇 년간의 경험을 쌓은 후 지망하는 것이 보통이다.
필자가 MIT 비즈니스 스쿨을 방문하여 MBA 학생들을 만나 인터뷰를 할 때, 그 학생들 중에는 물론 20대의 학생들도 있지만 머리가 희끗희끗한 중년의 학생들을 만나 보았다. MBA 과정에 지망하는 데는 학부과정에서 꼭 비즈니스를 전공할 필요가 없다. UC 버클리의 비즈니스 스쿨 학장은 자기 학교의 MBA 프로그램에 지망하는 학생들은 학부과정에서 가급적이면 비지니스가 아닌 다른 전공분야에서 공부할 것을 추천하고 있는 것을 읽은 적이 있다. 왜냐하면 MBA 과정에서 많은 비즈니스 과목들을 더 택하기 때문이다. 근래에 와서 엔지니어링이나 컴퓨터 사이언스를 전공한 학생들이 학위를 받은 경우 직업전망이 더욱 좋게 나와 있다.
MBA 프로그램에 지망하는 데는 비즈니스 스쿨 입학 표준고사인 GMAT(Graduate Management Admission Test)의 시험 성적이 요구된다. 만점은 800점이며 스탠포드, 하버드, 펜실베니아, 컬럼비아 또는 MIT 같은 최우수 MBA과정에 진학하는 학생들의 평균은 700점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노스웨스턴, 듀크, UC버클리, UCLA 같은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의 성적은 690~700 사이에 있다.
대부분의 MBA과정은 2년 이며 첫 해는 경영에 필요한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지식을 확고히 하고 2년째는 특수 전문분야를 공부한다. 이 같은 전문분야에는 어카운팅, 재정, 일반 경영, 국제 비즈니스, 마케팅, 생산운영 경영, 데이터처리 시스템 등 학교에 따라 여러 분야가 포함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