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 땐 전기기술자를 불러야 한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1-06-14 오후 6:04:00
◇ 자주 퓨즈가 나가거나 집안의 회로차단기가 내려갈 때. 자주 정전이 된다는 것은 집안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기소모량이 안전선을 넘어서 합선의 위험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전문가를 불러 집안전체의 전기시스템을 점거, 회로를 재조정해야 한다. ◇ 불이 깜박이거나 흐릿해질 때. 실내등을 켜놓은 상태에서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했을 때 실내등이 불빛이 잠시 흐릿해지거나 깜빡했다면 현재 설치된 전기회로를 좀더 높은 앰프로 바꾸어야 하는 것을 뜻한다. 만일 전기를 적게 소모하는 가전제품들을 사용할 때도 불빛이 흐릿해졌다면 20앰프선을 추가 사용할 것으로 고려해 볼 것. ◇ 하나의 아울렛에 많은 코드를 꽂아야 할 때 집안에 설치된 아울렛(코드 구멍)마다 문어발처럼 여러 개의 플러그(혹은 어답터)를 끼워야 한다면 이 자체가 극히 위험한 상태이다. 아울렛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회로를 재정비해야 한다. ◇ 전기선이 어지럽게 집안을 가로지르고 있을 때 가끔 어떤 가정에 가보면 카펫이 울퉁불퉁하다. 카펫 아래로 여러 개의 전기선(주로 추가연장 전기선)이 지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집안전체에 설치된 아울렛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혹은 집안의 가구배치에 함당치 못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집안의 컴퓨터나 TV 등 가전제품들에 대한 배치에 맞는 아울렛을 설치해야 나중에 합선 등의 염려가 없다. ◇ 기존 플러그에 구멍이 둘 있을 때. 지은 지 오래된 집(아파트)의 플러그는 대부분 구멍이 두 개인데 이는 천둥 분개가 칠 때 불필요한 전류를 집안으로 끌어들이지 않고 땅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가전제품의 파괴나 합선 등을 막아주는 접지(earth) 플러그를 사용할 수 없다. 접지 플러그는 최근 나오는 고리가 3개 짜리로 이중에서 둥근 갈코리가 바로 접지 역할을 해준다. 많은 가정에서는 구멍이 3개 달린 어답터 플러그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에 설치되 플러그 자체가 구멍이 두 개밖에 없다면 설사 3개 구멍짜리 어답터 플러그를 기운다 해도 위험성은 여전히 도시라고 있다. 이때는 전문가를 불러 구멍 3개 짜리 플러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집안전체에 접지장치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 최근의 전기 안전 기준에 맞지 않을 때 대부분 가정에서는 최근 요구하고 있는 전기 안전 기준을 모를 경우가 많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전기시설들이 최근의 안전기준에 맞는지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으로는 설치된 아울렛이나 스위치커버를 떼었을 때 그 안이 검은색 고무관으로 되었거나 집안의 전기선을 감고 있는 물질이 플라스틱이 아닌 헝겊일 경우는 현재 안전 기준에 맞지 않는다. 합선을 방지하는 절연장치가 돼 있지 않다는 표시이기 때문에 곧 전문가를 불러 현재 기준으로 재정비해야 한다. ◇ 스위치 표면이 따뜻할 때 벽에 부착된 스위치나 아울렛 또는 그밖에 전기장치의 표면을 만져 보았을 때 온기를 느끼거나 짜릿하게 전기가 통할 때, 또 부착된 벽근처가 거무스름하게 됐을 때는 회로상에 문제가 있거나 혹은 이보다 더 심각한 위험성이 내재하고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만일 65∼75년 사이에 건물을 지었거나 배선을 했다면 알루미늄선 일수도 있으므로 이 사실이 확인되면 집안의 전기시스템을 정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물이 있는 곳의 아울렛이 위험할 때 부엌·목욕탕·세탁장 등 물이 있는 곳에 설치된 아울렛은 물로 인한 감전 등을 막아주는 특수장치(GFCIS)가 돼있는 아울렛을 설치할 것을 안전 기준의 하나로 요구하고 있다. 만일 부엌 싱크대나 목욕탕 세면대 옆 벽에 설치된 아울렛에 이런 장치가 돼 있지 않다면 자칫 조금 물이 묻은 상태에서 헤어드라이어의 플러그를 끼웠을 때 감전될 위험성이 높다. 만일 이런 장치가 아울렛에 되어 있을 때는 때때로 '리셋'(reset) 버튼을 눌러 잘 작동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 집안의 메인 전기패널에 녹이 보일 때 집안의 메인 전기 서비스 패널에 녹이 슬기 시작했다면 뭔가 전기시스템 작동에 문제가 생겼다는 증거다. 즉 패널 내에 연결된 배선에 문제가 생겼거나 집안 전체의 전기 시스템 상에 이와 유사한 배선상의 고장이 발생했을 수도 있으니 전문가에게 점검을 부탁한다. ◇ 한번도 전기 서비스 개선을 한 적이 없을 때 만일 집(혹은 아파트)이 25년 이상 됐고 그 동안 전기 서비스를 업그레이드시킨 적이 없다면 그 자체가 합선 등 화재 위험을 안고 살고 있는 것과 같다. 따라서 빠른 시일 내에 전문가로부터 집 전체의 전기시스템을 점검하고 최근 요구하고 있는 전기 안전기준에 맞도록 시설 등을 재정비하는 것이 앞으로의 재난을 막는 길이다.
이전글 전통다도, 차 한잔 마시며 마음을 닦는다.
다음글 마당의 낙엽도 모으면 좋은 비료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589 우)143-805 / Tel. 02) 456-7850 | Fax. 02) 456-7650 | E-mail. karp@karpkr.org
Copyright(c) 2008 KA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