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정화기 구입시 체크사항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1-06-14 오후 6:04:00
공기 정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필터를 통하여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신선한 공기를 내보내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집안의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공기 정화기를 구입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체크해 봐야 한다. * 실내의 일반적인 오염 상태 집안의 공기는 너무 깨끗해 무균에 가까운 상태보다는 약간의 먼지가 있는 것이 낫다. 주장하는 학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규빅미터당 10만-50만개의 사이의 먼지가 있는 게 건강에 좋다고 한다. 현재 대부분의 도시의 환경 오염도를 보면 이러한 기준을 초과하는 도시는 눈에 띄지 않는다. 따라서 집이 큰 도로변에 위치하지 않거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목이 가렵다거나 하는 호흡기 계통의 별다른 이상을 느끼지 못하면 굳이 구입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난방기 사용이 많아지면 난방연료 연소에 의한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의 배출량이 늘어지므로 이럴 때는 공기정화기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가정에 활동적인 아동이 있으면 여기서도 먼지가 많이 발생한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 공기정화기가 발휘할 수 있는 처리용량과 실내면적 공기정화기가 처리할 수 있는 면적인 포장면에 표시돼 있다. 가정용, 사무실용, 공장용 등에 따라 처리면적이 다르며, 같은 가정용이라도 2백20스퀘어 피트부터 1천 스퀘어피트 이상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잘 때 방에서만 사용하려면 적은 처리용량을 가진 공기정화기를 구입해도 상관없지만 거실이나 사무실처럼 공간이 넓은 곳에서 사용하려면 많은 처리 용량을 가진 것을 구입해야 한다. * 사용장소 비슷한 면적을 가진 공간이라 하더라도 사용장소에 따라 다른 기종을 구입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전산실이나 정밀기기실은 일반 가정보다 요구되는 청정도가 높기에 같은 처리용적에 시간당 순환회수가 더 높은 기종을 선택해야 한다. 시간당 순환회수가 높을 수록 청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전글 화초들의 겨울나기, 서양란
다음글 스캐너, 종류·고르는 법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589 우)143-805 / Tel. 02) 456-7850 | Fax. 02) 456-7650 | E-mail. karp@karpkr.org
Copyright(c) 2008 KA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