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칼로리를 공급받는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음식 을 먹는 데에도 칼로리가 소비 된다는 것을 아는지요?
우리가 어떤 음식을 먹을 때 소화에 관련된 각 기관들은 들어온 음식물을 영양분으로 만들기 위해 각각 의 기능에 충실해 지속적으로 가동 됩니다. 이처럼 음식물을 분해하고 소화·흡수하기 위한 각 기관들 의 움직임을 통해 우리는 칼로리를 소모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음식의 종류에 따라서 소화되는 데 따른 열량의 소모가 다를 텐데 도대체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할까요? 우리는 이 개념을 ‘Thermic Effect of Food (음식물 소화 운동 효과. TEF)’라고 말합니다. 쉽 게 설명하면 음식을 섭취하면서 은근히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열을 말하며. 보다 의학적인 지식을 담아 서 정의한다면 음식을 섭취하여 그 음식이 소화되는 데 발생하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이 개념을 이해한 다면 TEF가 높은 음식이 다이어트에 도움을 줄 수 있겠죠. 간단히 두 가지를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 다.
1. 오렌지 주스 : 오렌지 한 알. 액상과당이나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는 순수한 오렌지만을 갈아 만든 주스는 입에서 씹는 작용도 필요치 않고 큰 에너지 소모 없이 쉽게 소화될 것입니다. 반면 오렌지 한 알을 직접 까서 먹는다고 한다면 우리 는 오렌지를 직접 씹어 과즙과 과육을 혀로 느껴가며 소화시킬 것입니다. 그 두 가지 중 소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가 더 큰 쪽은 어디일까요? 이것은 액상으로 만들어진 섬유질 보조 음료보다는 직접 야 채를 씹어서 먹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같은 열량의 동일한 음식을 먹더라 도 갈아서 액상으로 먹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직접 씹어 섭취하는 것이 식사로 인한 열 생산성을 더 높 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2. 백미: 잡곡 백미와 잡곡의 가장 큰 차이는 섬유질의 차이입니다. 잡곡밥은 섬유질이 많기 때문에 입에서도 흰쌀처 럼 부드럽게 넘어가기보다는 꼭꼭 씹어 넘겨야 합니다. 따라서 소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더 소모됩니다.
그렇다면 같은 백미라도 완전히 왕겨를 제거한 10분 도미보다는 5분 도미나 7분 도미가 소화에 따른 열 생산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외에도 단백질은 탄수화물과 지방에 비해서 섭취 후 소화에 따른 TEF 가 50%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다이어트 시 식사요법을 할 때에도 단백질의 섭취 는 근육량의 보존과 기초대사량의 보존은 물론 상대적인 TEF를 높일 수도 있으니 영양과 효율 면에서 모 두 중요한 요소일 수밖에 없습니다.
뜨거운 여름철이 눈앞으로 다가온 요즘. 씹는 것조차 귀찮아서 그저 시원하게 마시는 것에만 집중하셨다 면 이제는 음식물 하나하나에도 열량을 소모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고 최대한 씹어서 소화시킬 수 있 는 음식을 드시기 바랍니다. 결국 씹는 행위는 뇌에도 포만감을 전달해 줄 수 있어 다이어트에 긍정적 인 효과를 발휘할 것입니다.
강태은 [프렌닥터 연세내과. blog.naver.com/salzero] *이 글은 블로그 플러스(blogplus.joins.com)에 올라온 블로그 글을 제작자 동의 하에 기사화 한 것입니 다. 중앙 엔터테인먼트&스포츠(J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