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3 라디오 출발멋진인생 2010.12.16 금융사기]
작성자 KARP 작성일 2011-01-21 오전 11:09:42

     < 주명룡 회장의 시니어 정책, 어떤가요? >

 

                           "금융사기"

 

 

MC

이지연의 출발 멋진 인생,

노인 복지정보와 복지정책등을 따끔하게 진단해 보는

시간입니다.

‘주명룡 회장의 시니어 정책, 어떤가요?’

한국은퇴자협회 주명룡 회장과 함께 합니다.

어서오세요.

 

(인사)

 

MC

최근 은퇴자들을 대상으로 금융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하죠.

평생을 직장에서 일하다가 나이가 들어 은퇴해서

퇴직금이나 연금으로 안정된 삶을 살아야 할 분들이

그런 사기를 당해 퇴직금을 모두 날린다면

얼마나 억울하겠어요?

 

주명룡 회장

- 예! 그렇습니다.

언론의 보도 뿐 아니라, 주위에서 들려오는 소식도

사기를 당하신 분들의 이야기를 가끔 듣습니다.

- 그런데 안타까운 사실은,

이런 분들 중에는 사기를 당하고도 창피해서,

이런 사실을 숨기고 있는 분들도 많다는 것입니다.

MC 이런 사기를 당하는 분들은 주로 어떤 분들인가요?

 

주명룡 회장

- 누구든지 사기꾼의 표적이 될 수 있습니다.

- 그 중에서도 교직이나 대기업 또는 공직에서 근무하다가

은퇴하신 분들이, 사기를 당해 순식간에 전 재산을 날리고

길거리에 내몰리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 심지어 일반 서민들이 평생 동안 애써 모은 돈이나

농촌의 순진한 시골 노인을 대상으로 노리는 사기꾼도

있다고 합니다.

- 사기를 당하신 분들은 대부분이 평생을 한 직장이나

한 가지 일에만 종사해 온 분들로,

자기 분야 외에는 관심을 안 가져서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 분들입니다.

 

MC

이렇게 선량한 어르신들이 노후대책을 위해

그동안 준비해 두었던 자금을 사기 당하다니

정말 안타까운 일인데요.

이런 어르신들은 왜 쉽게 사기꾼들에게 노출되고

사기를 당하게 될까요?

 

주명룡 회장

- 이분들은 은퇴이후 더 이상 수입은 없지만,

퇴직금이나 그동안 모아온 돈으로

현금이나 주식을 보유하고 있거나 연금을 받고 있습니다.

- 경제활동이 활발한 젊은 세대보다

유동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 반면에 금융시장의 변화에는 둔감해서

금융실정에는 어둡습니다.

- 사기꾼들은 이런 약점을 노리지요.

- 그리고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자금으로는 앞으로 부족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가지게 됩니다.

- 그러니까 어딘가에 투자해서 자금을 늘려놓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때문에 안정된 고정수입을 얻을 수 있는 곳을

찾게 되지요.

- 사기꾼들은 이런 분들에게 접근하여 좋은 투자처가 있다고

꼬드깁니다.

 

MC

듣고 보니 저도 화가 나는데요.

도대체 이런 사기를 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입니까?

 

주명룡 회장

- 많은 분들이 잘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좋은 투자처가 있다’는 전화나 편지를

몇 번씩은 받아 보았을 것입니다.

- 이런 경우 조금만 관심을 보여도

사기꾼들의 감언이설에 속아 사기를 당할 수 있습니다.

- 그런데 놀라운 것은 사기를 당한 분들 70% 이상이

친구, 친척, 과거 직장의 동료이거나

평소에 친하게 지내는 이웃에게 당했다는 것입니다.

 

MC

아는 사람이 더 무섭군요.

그러면 이러한 사기꾼들이 사기를 치는 수법에

대해 좀 알아야, 사기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도

찾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주명룡 회장

- 이번에 조사를 해 보니, 사기꾼들이 사기를 치는 수법의

유형을, 크게 몇 가지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첫째, 잘 아는 사람이 찾아와서 ‘큰돈을 그냥 가지고만

있지 말고, 좋은 투자처가 있으니, 높은 이자를 받아

돈을 크게 늘려 주겠다’고 해서, 별 의심 없이 주었더니

돈을 갖고 자취를 감춰 버리는 경우입니다.

- 둘째는 창업권유입니다.

‘투자만 하면 많은 돈을 남게 해 주겠다’고 부추깁니다.

- 그러나 실제 해 보고 결과가 달라지면

‘열심히 해서 잘되면 그렇게 된다고 했다’는 식으로

말을 바꿉니다.

- 셋째는 서민층이나 시골노인들을 상대로,

적은 돈을 투자해서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처럼 속여서,

처음에는 약속대로 조금씩 수익금이라고 나누어 주다가,

투자자들이 빚까지 내어 투자금액이 많아지면

돈을 모두 챙겨 사라지는 방법입니다.

- 이외에도 여러 가지 사기 수법이 많이 있습니다.

 

MC

그런데 한편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게,

사기를 당하는 분들은 어떻게 그렇게 쉽게 사기를

당하느냐 하는 거예요.

그간 살아온 경험으로도 세상에 쉽게 돈 버는 법은

없다는 것을 알고 있고,

또 나름대로 사실여부를 조사도 해 보고,

사기꾼들이 제시하는 조건도 확인해 보았을 것

아녜요?

 

주명룡 회장

- 왜 조심을 하지 않겠습니까.

그렇지만 우리 속담에 ‘도둑맞으려면 개도 안 짖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 그리고 사기꾼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상식적인 생각을

한다면, 사기를 칠 수가 없겠지요.

- 사기꾼들은 일단 표적이 정해지면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모든 수단을 동원합니다.

- 가장 많이 쓰는 수법이, 교묘한 방법으로 쉽게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 사람들은 누구나 많은 돈을 갖고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 사기꾼은 이러한 심리적인 약점을 활용해서

그 꿈을 이룰 수 있는 것처럼 강조합니다.

- 그리고 자기는 유명회사에서 근무하면서

그 방면에 특별한 경험과 자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기만 이 일을 할 수 있는 것처럼 말합니다.

- 또 유명인사와의 친분이 있는 것처럼 슬쩍 비치면서

그 사람도 함께 투자를 했다거나,

이 일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애를 씁니다.

- 마지막으로는 특별한 기회니까 빨리 결정하지 않으면

좋은 기회를 놓치게 된다고 하면서

서둘러 투자하도록 종용합니다.

- 그런데 투자를 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것이 거짓말이라는 사실이 곧 드러나게 됩니다.

 

MC

그러면 금융사기를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명룡 회장

- 우선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전화나 편지 또는 이메일로

‘부동산 등 좋은 투자처가 있다’고 투자권유를 받았을 때는

무조건 무시하고 ‘관심 없다’는 말로 대화를 끝내는 것이

좋습니다.

- 이런 경우에는 100% 사기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 또 학연이나 지연 또는 아는 사람을 통해

투자권유를 받았을 때도, 안면이나 체면에 구애받지 말고

단호하게 ‘NO!'라고 말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 혹시 꼭 거절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시간을 두고 우선 합법성 여부를 확인하고

관련 자료와 그에 관한 정보를 찾아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 모든 것이 사실로 확인되더라도, 먼저 가족과 상의하고

그 외에도 믿을 수 있는 관련분야 전문가

그리고 경험자를 찾아 상의해서,

투자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투자를 결정할 때는, 모든 계약내용은 반드시

문서로 작성해서 보관해 두어야 합니다.

- 광고전단지에 나오는 문구나 구두협의만으로는

법적보호를 받을 수 없습니다.

 

MC

사기로 의심되는 경우에는

어디에 확인을 해 보면 될까요?

 

주명룡 회장

- 금융사기로부터 법적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공인기관으로는, 금융위원회 산하의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이 있습니다.

- 사기로 의심되거나 확인이 필요할 경우에는

투자 전에 반드시 ‘한국투자자보호재단’에 제보하거나

상담 또는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전화번호는 02) 761-5100번이고, 국번없이 1332번,

휴대전화는 02)1332번으로

제보, 상담 또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MC

끝으로 투자기회를 찾고 있는 은퇴자들에게

조언 한마디 해주시죠.

 

주명룡 회장

- 세상에 ‘일확천금’이나 ‘불로소득’은 절대 없습니다.

- 그리고 ‘기대수익률이 높으면 그에 비례하여

사기당할 위험도 높다’는 사실을 명심하시면

사기를 당하지 않을 것입니다.

 

MC

네, 일단 이런 사기를 당하지 않도록

스스로 주의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주명룡 회장의 시니어 정책, 어떤가요?’

오늘은 고수익을 미끼로 한 금융투자사기와 관련된

말씀을 나눠봤습니다.

한국은퇴자협회 주명룡 회장과 함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인사

 

2011.01.21

KARP(한국은퇴자협회)

이전글 [KBS 3 라디오 출발멋진인생 2010.12.23 2011년 노인일자리사업]
다음글 [KBS 3 라디오 출발멋진인생 2010.12.09 파렴치한 상조회사 사기]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589 우)143-805 / Tel. 02) 456-7850 | Fax. 02) 456-7650 | E-mail. karp@karpkr.org
Copyright(c) 2008 KA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