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스한 글
(5-3=2) 와 (2+2=4)
(5-3=2)란
어떤 오해(5)라도 세번(3)을 생각하면
이해(2) 할 수 있게 되다는 뜻이고,
(2+2=4)란
이해(2)와 이해(2)가 모일 때
사랑(4)이 된다는 뜻 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을 오해 할 때가 있고
오해를 받기도 합니다.
오해는 대개
잘 못된 선입견, 편견, 이해의부족에서 생기고
결국 오해는 잘못된 결과를 가져옵니다.
(5-3=2)이라는 아무리 큰 오해라도 세번 생각하면
이해 할 수 있다는 풀이가 새삼 귀하게 여겨집니다.
사실 영어로 "이해"를 말하는 "Understand"는 "밑에 서다"라는 뜻으로
그사람 입장에 서서 생각하고 바라보는 것이 이해라는 것입니다.
이해와 이해가 모여 사랑이 된다는 말
너무 귀하지 않습니까 ?
단순하게 말하자면 사랑은 이해인지도 모릅니다.
따듯한 이해와 이해가 모일 때
우리는 그것을 "사랑"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5-3=2) 와 (2+2=4)란 단순한 셈을
기억 했으면 합니다.
서로와 서로를 가로막고
때로는 멀리 떨어뜨려 놓은 온갓 오해를
따듯한 이해로 풀어버리고
우리 모두 사랑에 이르렀으면 좋겠습니다.
서로간의 오해라는 것이
참 어줍잖게 하찮은 일로 오해가 생깁니다.
전혀 그럴 의도가 없었는데
상대방이 오해를 할 경우가 있고
또 무조건 선입견의 감정으로 오해를 만들기도 합니다.
"오해"라는 엉킨 실타래가 생겼다면
"이해"와 "사랑"으로 서로
풀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최창환 의 신선에서 -
- 항상 건강하시고 날마다 즐겁고 행봇하소서 -